건강으로의 행복

눈 충혈 원인과 증상, 안구 결막염, 빨개진 눈을 개선하는 방법

벨론티77 2023. 12. 24. 16:04

잠을 잘 잤는데도 불구하고 눈이 빨갛게 충혈이 되 괜시리 걱정이 되는 날이 있습니다. 눈이 빨개지면 피곤한 인상을 주기도 하고 사람들과 만날 때도 괜히 신경이 더 쓰이게 되는데요. 

 

가려움증과 핑크 아이의 증상이 수일 지속이 된다거나 혹은 안구가 특별히 아프거나 가려운 것도 아닌데 수일동안 안구의 충혈 증상이 계속 된다면 질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눈이 충혈되는 원인과 증상, 빨개진 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볼게요. 

 

 

 

 

눈이 충혈되는 이유가 뭘까?


눈의 특정 부위에 동맥피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모이면 충혈 증상이 나타나는데 안구가 충혈되는 원인을 알아볼게요.

전자기기의 장사용

 

요즘 세대는 거의 모든 업무를 핸드폰이나 노트북, 컴퓨터로 작업하고 아이들만 해도 전자기기와 태블릿을 보며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이 충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자기기의 블루나이트에 노출이 되어 충혈이 일어나는 것이죠.

 

 

피로로 인한 눈의 충혈

 

잠을 잘 자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이 부족한 경우 눈에 핏발이 서서 충혈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잠을 충분히 자지 않으면 눈물이 부족한 증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충혈이 되는 것이죠. 피로로 인한 눈의 충혈을 막기 위해 하루 7~8시간 정도의 편안하고 행복한 잠자리가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결막염과 각막염- 분홍색 눈 pink eye

 

결막염은 쉽게 말해 눈에 상처가 나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해요. 때로는 미세먼지나 동물의 털, 꽃가루에 심하게 노출이 되면서 눈의 모세혈관 부분을 자극해 눈이 충혈 되기도 해요. 

 

결막염의 대표적인 경우는 알레르기 결막염 안구 건조증, 포도막염이 있어요. 눈에 상처가 나며 핏줄이 터지거나 점막에 염증이 생겨 충혈이 되고 그로 인해 흰자위가 빨갛게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간지러움증이 심하고 심한 열감이 느껴지는 경우라면 알레르기 결막염의 가능성이 높아요.

보통 환절기인 봄에 알레르기 증상이 심해지는데 면역력이 낮은 아이들이 알레르기 결막염에 잘 노출되고, 눈을 자주 비비면서 "결막부종"까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노랗고 끈적한 눈곱이 끼며 이물감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는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감염된 결막염의 가능성이 높아요.

 

결막염의 상처를 오래 두게 되면 각막까지 염증이 퍼져 각막염으로 진행이 되고 각막염은 심할 경우 눈의 시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 때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장시간 렌즈 착용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

 

장시간 렌즈를 끼면 안구에 산소가 부족한 현상이 생겨 눈에 핏발이 서고 충혈이 됩니다. 

 

저와 같은 경우도 장시간 렌즈 착용을 15년 이상 한 경우로, 결막의 혈관이 확장되고 증식해 충혈이 지속되고 이와 같은 증상이 오래 되면 만성의 충혈된 붉은 눈이 됩니다.

 

렌즈의 권장 착용 시간은 8시간 이내입니다. 8시간 이상 장시간 렌즈를 끼고 생활하시는 분들은 안구 건조증이 생길 위험이 있기 때문에 8시간 이내의 착용을 권유해 드려요.

 

눈에 간질간질한 느낌이 계속 된다던지 렌즈를 뺏는데도 까칠까칠한 느낌이  남아 있는 경우 포도막염각막염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때의 증상은 물건이 다소 뿌옇게 보인다거나 시력이 떨어지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결막하 출혈

 

결막은 눈꺼풀 안쪽에서 눈의 앞쪽을 덮는 막입니다.  결막하 출혈은 이 곳에 피가 고여있는 경우로 광범위한 안구의 외상으로 발생하거나 구토, 긴장, 심한 기침이나 재채기로도 발생합니다. 

 

굉장히 무서운 단어인 듯 하지만 결막하 출혈은 보통 2주 내에 저절로 치료가 되는 경우가 많아요. 일상 생활에서 눈에 압력을 강하게 주는 행동으로 잠시 출혈이 일어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안구 충혈 개선하는 방법

안구 충혈이 2~3일 계속 되는 경우는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가려움증을 막는 약을 복용하거나 치료를 해야 합니다. 또한 치료받는 동안은 최대한 눈에 자극을 주지 말고 비비지 않는 것도 중요하구요.

 

진료를 보기 전 냉찜질을 통해 눈의 부종을 가라 앉힌 후 안과 진료를 보는 것을 권장해 드려요. 그럼 집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안구 충혈 개선방안을 몇가지 알아볼게요

  • 인공눈물

집에서 할 수 있는 민간요법으로는 인공눈물이 있습니다. 하지만 눈이 충혈되고 건조할 때마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은 안구를 더 메마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사용량을 지켜야 해요. 

 

또한 시중에 눈꺼풀 세정제나 패드 형태의 눈꺼풀을 닦아내는  종류의 세정제도 나와서 나에게 맞는 제품을 골라 사용해 주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 영양제 섭취

안구의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오메가 3를 섭취하거나 비타민A를 섭취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눈에 좋은 영양제는 시중에 많아 나에게 맞는 제품으로 섭취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생활 습관

평소 집에서 쉬는 순간에도 핸드폰을 들여다 보고 자기 전까지 붙들고 있는 분이 계시다면 잠시 핸드폰을 놓고 명상을 하거나 음악을 듣는 등 전자기기와 멀어지는 시간을 가지고, 충분히 휴식하고 수분을 섭취하는 게 좋아요. 

 

겨울에도 주기적인 실내 환기를 시키고 콘택트 렌즈의 사용을 피하며, 염색이나 강한 화장, 눈썹 연장술 같은 눈에 자극을 주는 시술도  자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충혈이 계속 되었을 때 안구 충혈의 원인을 알지 못한 채로 계속 둔다면 만성 출혈에서 결막염, 각막손상, 황반변성에까지 이르게 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자연적으로 치유가 가능한 눈 상태에서의 출혈이라면 1~3일 이내로 눈의 상태가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가려움이 2~3일 이상 진행된다면 진료가 한번쯤은 필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사소한 증상이 있을 때 사전에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마음의 창인 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댓글수1